반응형

myObject.java 파일에서 하는 일은...

IP를 요청받기 위한 GUI 화면을 보여주고

사용자로 부터 받아온 IP정보를 받아와서 eXtream.java 소스에 이동시켜주는 일을 한다.
//--------------------------------------------------------------------------------------

import java.awt.*;
import javax.swing.*;

public class myObject extends JFrame {
  JLabel jLabel1 = new JLabel();
  JLabel jLabel2 = new JLabel();
  JTextField tf_ip = new JTextField();
  JButton bu_ok = new JButton();
  JButton bu_cancel = new JButton();
  private int system = 0;

  myObject() {
    try {
      jbInit();
    }
    catch(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private void jbInit() throws Exception {
    jLabel1.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jLabel1.setText("IP address :");
    jLabel1.setBounds(new Rectangle(13, 43, 78, 25));
    this.getContentPane().setBackground(new Color(215, 222, 217));
    this.setResizable(false);
    this.setTitle("ARP 요청처리");
    this.getContentPane().setLayout(null);
    jLabel2.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jLabel2.setText("원하시는 컴퓨터의 IP를 입력하세요");
    jLabel2.setBounds(new Rectangle(13, 10, 205, 30));
    tf_ip.setText("");
    tf_ip.setBounds(new Rectangle(96, 43, 124, 25));
    bu_ok.setBounds(new Rectangle(96, 74, 62, 24));
    bu_ok.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_ok.setMaximumSize(new Dimension(57, 25));
    bu_ok.setMargin(new Insets(0, 0, 0, 0));
    bu_ok.setText("요청하기");
    bu_cancel.setBounds(new Rectangle(158, 74, 62, 24));
    bu_cancel.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_cancel.setMargin(new Insets(0, 0, 0, 0));
    bu_cancel.setText("취소하기");
    this.getContentPane().add(jLabel1, null);
    this.getContentPane().add(jLabel2, null);
    this.getContentPane().add(tf_ip, null);
    this.getContentPane().add(bu_ok, null);
    this.getContentPane().add(bu_cancel, null);
    this.setSize(240,140);
  }

  public void set_ProcessNum(int i) {
    system = i;
  }
  public int get_ProcessNum() {
    return system;
  }
}

반응형
Posted by onlyTheOne
,
반응형

네트워크 이야기에 써야 마땅할 ARP 프로토콜을 프로그래밍 이야기에 적으려 합니다.
제가 04년에 학과 과목 중 한 과목 텀 프로젝트로.....
만들었던 프로그램입니다.
ARP 프로토콜... 움직임을 네트워크 상에 표현한 소스 코드 입니다.
첫번째 소스 코드 입니다.

// eXtream.java ........................................................................

import javax.swing.*;
import java.awt.*;
import java.awt.event.*;
import java.util.*;
import javax.swing.border.*;

import java.io.*;
import java.net.*;

/**
 * main class
 * class의 기능
 * 1. 패킷 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것과
 * 2. 실제 C/S환경을 만들어 패킷을 전송하는것을 보여줌
 * 3. Server는 network의 회선을 지칭한다.
 * 4. Client는 network에 접속된 Computer로 지칭된다.
 */
public class eXtream extends JFrame implements Runnable, ActionListener {
  /**
   * // 사용자 정의 클래스 Object로 선언
   * 사용자 정의 class의 객체를 선언하는 부분
   */
  myObject my_ob = new myObject();
  myTable ta[] = new myTable[8];
  Network2 nt = new Network2();
  One_1 oe[] = new One_1[8];

//////////////////////////////////////////////////////////////////////
  // GUI Component 부분
  JPanel com1 = new JPanel();
  JPanel com2 = new JPanel();
  JPanel com3 = new JPanel();
  JPanel com4 = new JPanel();
  JPanel com5 = new JPanel();
  JPanel com6 = new JPanel();
  JPanel com7 = new JPanel();
  JPanel com8 = new JPanel();
  ImageIcon ic = new ImageIcon("bg.gif");
  ImageIcon con = new ImageIcon("icon.gif");
  JButton bu_init = new JButton();
  JLabel bg = new JLabel();
  JButton effect = new JButton();
  JButton bu_Kill = new JButton();

  Graphics g = null;
//////////////////////////////////////////////////////////////////
  int center_XY[][] = new int[17][2];
  int one_XY[][] = new int[5][2];
  int two_XY[][] = new int[5][2];
  int thd_XY[][] = new int[5][2];
  int fth_XY[][] = new int[5][2];

  String log_hard[][] = // IP주소와 MAC주소를 지정하였다.
      {{"130.23.43.20","B23455102210"}, {"130.23.43.21", "46EF45983AB"},
      {"130.23.43.22","A23EF5510210"}, {"130.23.43.23", "BA021434EECD"},
      {"130.23.43.24","B4512340113"}, {"130.23.53.25","CEFE4213420"},
      {"130.23.43.25","B2345522110"}, {"130.23.43.26","46FE45938BA"}
  };

  int th_type = 0;  // thread 돌아갈때 애니메이션의 어느부분인가 지정하는것
  Thread th = null; // Thread 객체 선언....

  GridLayout gridLayout1 = new GridLayout();
  JButton bu1_com1 = new JButton();
  JButton bu2_com1 = new JButton();
  JLabel jLabel1 = new JLabel();
  JButton bu1_com2 = new JButton();
  JButton bu2_com2 = new JButton();
  JLabel jLabel2 = new JLabel();
  GridLayout gridLayout2 = new GridLayout();
  GridLayout gridLayout3 = new GridLayout();
  JButton bu1_com3 = new JButton();
  JButton bu2_com3 = new JButton();
  JLabel jLabel3 = new JLabel();
  GridLayout gridLayout4 = new GridLayout();
  JButton bu1_com4 = new JButton();
  JButton bu2_com4 = new JButton();
  JLabel jLabel4 = new JLabel();
  GridLayout gridLayout5 = new GridLayout();
  JButton bu1_com5 = new JButton();
  JButton bu2_com5 = new JButton();
  JLabel jLabel5 = new JLabel();
  GridLayout gridLayout6 = new GridLayout();
  JButton bu1_com6 = new JButton();
  JButton bu2_com6 = new JButton();
  JLabel jLabel6 = new JLabel();
  GridLayout gridLayout7 = new GridLayout();
  GridLayout gridLayout8 = new GridLayout();
  JButton bu1_com7 = new JButton();
  JButton bu2_com7 = new JButton();
  JLabel jLabel7 = new JLabel();
  JButton bu1_com8 = new JButton();
  JButton bu2_com8 = new JButton();
  JLabel jLabel8 = new JLabel();
  TitledBorder titledBorder1;

  /**
   * 생성자 Design 설정 메소드를 호출한다.
   */
  public eXtream() {
    try {
      jbInit();
    }
    catch(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Xtream eXtream = new eXtream();
  }
  /**
   * jbInit() Design을 설정하는 메소드
   * @throws java.lang.Exception
   */
  private void jbInit() throws Exception {
    titledBorder1 = new TitledBorder("");
    this.getContentPane().setBackground(Color.white);
    this.setResizable(false);
    this.setState(Frame.NORMAL);
    this.setTitle("ARP Emulator");
    this.getContentPane().setLayout(null);
    com1.setBackground(Color.lightGray);
    com1.setBorder(BorderFactory.createRaisedBevelBorder());
    com1.setBounds(new Rectangle(21, 28, 67, 57));
    com1.setLayout(gridLayout1);
    com2.setBackground(Color.lightGray);
    com2.setBorder(BorderFactory.createRaisedBevelBorder());
    com2.setBounds(new Rectangle(125, 28, 67, 57));
    com2.setLayout(gridLayout2);
    com3.setBackground(Color.lightGray);
    com3.setBorder(BorderFactory.createRaisedBevelBorder());
    com3.setBounds(new Rectangle(233, 28, 67, 57));
    com3.setLayout(gridLayout3);
    com4.setBackground(Color.lightGray);
    com4.setBorder(BorderFactory.createRaisedBevelBorder());
    com4.setBounds(new Rectangle(346, 28, 67, 57));
    com4.setLayout(gridLayout4);
    com5.setBackground(Color.lightGray);
    com5.setBorder(BorderFactory.createRaisedBevelBorder());
    com5.setBounds(new Rectangle(21, 186, 67, 57));
    com5.setLayout(gridLayout5);
    com6.setBackground(Color.lightGray);
    com6.setBorder(BorderFactory.createRaisedBevelBorder());
    com6.setBounds(new Rectangle(125, 186, 67, 57));
    com6.setLayout(gridLayout6);
    com7.setBackground(Color.lightGray);
    com7.setBorder(BorderFactory.createRaisedBevelBorder());
    com7.setBounds(new Rectangle(233, 186, 67, 57));
    com7.setLayout(gridLayout7);
    com8.setBackground(Color.lightGray);
    com8.setBorder(BorderFactory.createRaisedBevelBorder());
    com8.setBounds(new Rectangle(346, 186, 67, 57));
    com8.setLayout(gridLayout8);
    bu_init.setBounds(new Rectangle(421, 27, 84, 66));
    bu_init.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_init.setMargin(new Insets(0, 0, 0, 0));
    bu_init.setText("System Init");
    bg.setBackground(Color.white);
    bg.setOpaque(true);
    bg.setBounds(new Rectangle(49, 85, 342, 101));
    effect.setBounds(new Rectangle(421, 175, 84, 66));
    effect.setEnabled(false);
    effect.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effect.setMargin(new Insets(0, 0, 0, 0));
    effect.setText("효과가동");
    bu_Kill.setBounds(new Rectangle(421, 101, 84, 66));
    bu_Kill.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_Kill.setMargin(new Insets(0, 0, 0, 0));
    bu_Kill.setText("System Term.");
    bu1_com1.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1_com1.setMargin(new Insets(0, 0, 0, 0));
    bu1_com1.setText("정보보기");
    gridLayout1.setRows(3);
    bu2_com1.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2_com1.setMargin(new Insets(0, 0, 0, 0));
    bu2_com1.setText("ARP요청");
    jLabel1.setText("Com1");
    bu1_com2.setText("정보보기");
    bu1_com2.setMargin(new Insets(0, 0, 0, 0));
    bu1_com2.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2_com2.setText("ARP요청");
    bu2_com2.setMargin(new Insets(0, 0, 0, 0));
    bu2_com2.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jLabel2.setToolTipText("");
    jLabel2.setText("Com2");
    gridLayout2.setRows(3);
    gridLayout3.setRows(3);
    bu1_com3.setText("정보보기");
    bu1_com3.setMargin(new Insets(0, 0, 0, 0));
    bu1_com3.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2_com3.setText("ARP요청");
    bu2_com3.setMargin(new Insets(0, 0, 0, 0));
    bu2_com3.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jLabel3.setText("Com3");
    gridLayout4.setRows(3);
    bu1_com4.setText("정보보기");
    bu1_com4.setMargin(new Insets(0, 0, 0, 0));
    bu1_com4.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2_com4.setText("ARP요청");
    bu2_com4.setMargin(new Insets(0, 0, 0, 0));
    bu2_com4.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jLabel4.setText("Com4");
    jLabel4.setVerticalAlignment(SwingConstants.CENTER);
    jLabel4.setVerticalTextPosition(SwingConstants.CENTER);
    gridLayout5.setRows(3);
    bu1_com5.setText("정보보기");
    bu1_com5.setMargin(new Insets(0, 0, 0, 0));
    bu1_com5.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2_com5.setText("ARP요청");
    bu2_com5.setMargin(new Insets(0, 0, 0, 0));
    bu2_com5.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jLabel5.setText("Com5");
    gridLayout6.setRows(3);
    bu1_com6.setText("정보보기");
    bu1_com6.setMargin(new Insets(0, 0, 0, 0));
    bu1_com6.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2_com6.setText("ARP요청");
    bu2_com6.setMargin(new Insets(0, 0, 0, 0));
    bu2_com6.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jLabel6.setForeground(Color.black);
    jLabel6.setText("Com6");
    bu1_com7.setText("정보보기");
    bu1_com7.setMargin(new Insets(0, 0, 0, 0));
    bu1_com7.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2_com7.setText("ARP요청");
    bu2_com7.setMargin(new Insets(0, 0, 0, 0));
    bu2_com7.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jLabel7.setText("Com7");
    bu1_com8.setText("정보보기");
    bu1_com8.setMargin(new Insets(0, 0, 0, 0));
    bu1_com8.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bu2_com8.setText("ARP요청");
    bu2_com8.setMargin(new Insets(0, 0, 0, 0));
    bu2_com8.setFont(new java.awt.Font("SansSerif", 0, 12));
    jLabel8.setText("Com8");
    gridLayout8.setRows(3);
    gridLayout7.setRows(3);
    this.getContentPane().add(com1, null);
    com1.add(jLabel1, null);
    com1.add(bu1_com1, null);
    com1.add(bu2_com1, null);
    this.getContentPane().add(com4, null);
    this.getContentPane().add(com3, null);
    this.getContentPane().add(com2, null);
    this.getContentPane().add(com6, null);
    this.getContentPane().add(com7, null);
    this.getContentPane().add(com8, null);
    this.getContentPane().add(com5, null);
    this.getContentPane().add(bg, null);
    com3.add(jLabel3, null);
    com4.add(jLabel4, null);
    com4.add(bu1_com4, null);
    com4.add(bu2_com4, null);
    com2.add(jLabel2, null);
    com2.add(bu1_com2, null);
    com2.add(bu2_com2, null);
    com3.add(bu1_com3, null);
    com3.add(bu2_com3, null);
    com5.add(jLabel5, null);
    com6.add(jLabel6, null);
    com7.add(jLabel7, null);
    com7.add(bu1_com7, null);
    com7.add(bu2_com7, null);
    com8.add(jLabel8, null);
    com8.add(bu1_com8, null);
    com8.add(bu2_com8, null);
    com5.add(bu1_com5, null);
    com5.add(bu2_com5, null);
    com6.add(bu1_com6, null);
    com6.add(bu2_com6, null);
    this.getContentPane().add(bu_init, null);
    this.getContentPane().add(bu_Kill, null);
    this.getContentPane().add(effect, null);
    this.setSize(new Dimension(530, 281));
    this.setVisible(true);

    g = bg.getGraphics();
    conXY();
    addEvent(); // GUI 컴포넌트 Event 등록용 메소드
  }
  /**
   * GUI component의 Event를 시스템에 등록시키는 메소드
   */
  private void addEvent() {
   bu_init.addActionListener(this);
   effect.addActionListener(this);
   bu_Kill.addActionListener(this);

   bu1_com1.addActionListener(this);
   bu2_com1.addActionListener(this);
   bu1_com2.addActionListener(this);
   bu2_com2.addActionListener(this);
   bu1_com3.addActionListener(this);
   bu2_com3.addActionListener(this);
   bu1_com4.addActionListener(this);
   bu2_com4.addActionListener(this);
   bu1_com5.addActionListener(this);
   bu2_com5.addActionListener(this);
   bu1_com6.addActionListener(this);
   bu2_com6.addActionListener(this);
   bu1_com7.addActionListener(this);
   bu2_com7.addActionListener(this);
   bu1_com8.addActionListener(this);
   bu2_com8.addActionListener(this);
   my_ob.bu_ok.addActionListener(this);
   my_ob.bu_cancel.addActionListener(this);

 }
 /**
  * ActionEvent를 처리 하기 위한 메소드로써 ActionEvent 객체를 parameter값으로 받아온다.
  * @param ev ActionEvent
  */
 public void actionPerformed(ActionEvent ev) {
   Object ob = ev.getSource();
   if(ob == bu_init){
     set_Network();
     setImage();
     bu_init.setEnabled(false);
   }
   if(ob == bu_Kill) {
     try {
       this.setVisible(false);
       System.exit(0);
     } catch(Exception ex) {}

   }
   if(ob == effect) {

   }
   if(ob == bu1_com1) {  show_Table(0); }
   if(ob == bu1_com2) {  show_Table(1); }
   if(ob == bu1_com3) {  show_Table(2); }
   if(ob == bu1_com4) {  show_Table(3); }
   if(ob == bu1_com5) {  show_Table(4); }
   if(ob == bu1_com6) {  show_Table(5); }
   if(ob == bu1_com7) {  show_Table(6); }
   if(ob == bu1_com8) {  show_Table(7); }

   if(ob == bu2_com1) {  show_Arp(0);  }
   if(ob == bu2_com2) {  show_Arp(1);  }
   if(ob == bu2_com3) {  show_Arp(2);  }
   if(ob == bu2_com4) {  show_Arp(3);  }
   if(ob == bu2_com5) {  show_Arp(4);  }
   if(ob == bu2_com6) {  show_Arp(5);  }
   if(ob == bu2_com7) {  show_Arp(6);  }
   if(ob == bu2_com8) {  show_Arp(7);  }

   if(ob == my_ob.bu_cancel) {
     if(my_ob.isVisible() == true) {
       my_ob.tf_ip.setText("");
       my_ob.setVisible(false);

     }
   }
   if(ob == my_ob.bu_ok) {
     arp_Request(my_ob.get_ProcessNum()); //arp 요청
     my_ob.tf_ip.setText("");
     my_ob.setVisible(false);
   }

   if(ob == ta[0].bu_update) { update_Table(0); }
   if(ob == ta[1].bu_update) { update_Table(1); }
   if(ob == ta[2].bu_update) { update_Table(2); }
   if(ob == ta[3].bu_update) { update_Table(3); }
   if(ob == ta[4].bu_update) { update_Table(4); }
   if(ob == ta[5].bu_update) { update_Table(5); }
   if(ob == ta[6].bu_update) { update_Table(6); }
   if(ob == ta[7].bu_update) { update_Table(7); }


 }

 /**
  * ARP 에뮬레이팅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 구축용 메소드
  */
 private void set_Network() {
   nt.servStart();
   for(int i=0;i<8;i++) {
     ta[i] = new myTable();
     ta[i].set_IP(log_hard[i][0]);
     ta[i].set_Mac(log_hard[i][1]);
     ta[i].bu_update.addActionListener(this);
     oe[i] = new One_1();
     oe[i].connProcess(log_hard[i][0],log_hard[i][1]);
     oe[i].set_Num(i);
   }
 }
 /**
  * Table을 Update시키게 하는 메소드
  * @param num table이 몇번인지 파악한다.
  */
 private void update_Table(int num) {
   ta[num].validate();
 }

 /**
  * Table Frame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메소드
  * @param num Table의 몇번인지 파악한다.
  */
 private void show_Table(int num) {
   ta[num].setVisible(true);
 }

 /**
  * arp요청시 필요한 IP정보를 받아오기 위한 메소드
  * @param pid 몇번째 Table에서 요청하는지 파악하지 위한 값전달
  */
  private synchronized void show_Arp(int pid) {
   my_ob.setLocation(400,300);
   my_ob.set_ProcessNum(pid);
   my_ob.setVisible(true);
 }
 /**
  * ARP를 요청 하여 처리
  * @param i 몇번째 Client에서 요청하였는지 파악하는 인수값
  */
 private void arp_Request(int i) {
   String ip = my_ob.tf_ip.getText().trim();
   boolean tf = ta[i].isIpRow(ip);
   if(tf == false) {
     String temp = ta[i].get_State(ip);
     if(temp == "R") {// resolved 상태이면
       JOptionPane.showMessageDialog(this,"이미 Table에 해당 ip에 대한 mac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 else if(temp == "P") {
       JOptionPane.showMessageDialog(this,"Physical address를 기다리는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세요");
     }
   } else {
     int proc_num = my_ob.get_ProcessNum();
     oe[i].sendProcess(ip);
   }
 }

 /**
  * 5개의 배열에 초기값을 저장하는 메소드
  */
  private void conXY() {
    int i;
    for(i=0;i<17;i++) {
      center_XY[i][1] = 41;
    }
    center_XY[0][0] = 1;
    for(i=1;i<17;i++) {
      center_XY[i][0] = 1 + (20 * i);
    }
    for(i=0;i<5;i++) {
      one_XY[i][0] = 1;
      two_XY[i][0] = 101;
      thd_XY[i][0] = 221;
      fth_XY[i][0] = 321;
    }
    one_XY[0][1] = 1;
    two_XY[0][1] = 1;
    thd_XY[0][1] = 1;
    fth_XY[0][1] = 1;
    for(i=1;i<5;i++) {
      one_XY[i][1] = 1 + (20 * i);
      two_XY[i][1] = 1 + (20 * i);
      thd_XY[i][1] = 1 + (20 * i);
      fth_XY[i][1] = 1 + (20 * i);
    }
  }

  /**
   *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한 배경 이미지 삽입
   *
   * */
  public void setImage() {
    bg.setIcon(ic);
  }

  /**
   *  i번 computer에서 전체로 broadCasting할때 패킷 보여주는것
   * @param i 몇 번째 가상 client에서 broadcasting하는 알려주기 위한것
   */
  public void show_All(int i) {
    switch(i) {
      case 1: one_to_All(); break;
      case 2: two_to_All(); break;
      case 3: thd_to_All(); break;
      case 4: fth_to_All(); break;
      case 5: fiv_to_All(); break;
      case 6: six_to_All(); break;
      case 7: sev_to_All(); break;
      case 8: egh_to_All(); break;
    }
  }
  /**
   * 1번에서 Broadcasting 할때
   */
  public void one_to_All() {
    one_1();
    one_2();
    one_3();
    one_4();
  } // end of one_to_All();
  /**
   * 5번에서 broadCasting 할때
   */
  public void fiv_to_All() {
    one_other();
    one_2();
    one_3();
    one_4();
  } // end of fiv_to_All()
  /**
   * 4번에서 broadCasting 할때
   */
  public void fth_to_All() {
    two_1();
    two_2();
    two_3();
    two_4();
  } // end of fth_to_All()
  /**
   * 8번에서 broadcasting 할때
   */
  public void egh_to_All() {
    two_other();
    two_2();
    two_3();
    two_4();
  } // end of egh_to_All()
  /**
   * 2번에서 BroadCasting시...
   */
  public void two_to_All() {
    // 왼쪽과 아래에 위치한 Computer로  패킷으로 전송
    two_move2();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second_th(8);
    th = new Thread(this);
    th_type = 23;
    th.start();
    try {
      Thread.sleep(400);
    } catch(Exception ex) {}
    two_4();
  // 아래로 내려와 오른쪽에 위치한 Computer로 패킷으로 전송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two_move2();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second_th(3);
    try {
      Thread.sleep(500);
    } catch(Exception ex) {}
    one_3();
    one_4();
  } // end of two_to_All()
  /**
   * 6번에서 BroadCasting할 경우
   */
  public void six_to_All() {
    // 왼쪽과 위에 위치한 Computer로  패킷으로 전송
    two_move5();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second_th(8);
    th = new Thread(this);
    th_type = 26;
    th.start();
    try {
      Thread.sleep(400);
    } catch(Exception ex) {}
    two_4();
  // 위로 올라가 오른쪽에 위치한 Computer로 패킷으로 전송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two_move5();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second_th(3);
    try {
      Thread.sleep(500);
    } catch(Exception ex) {}
    one_3();
    one_4();
  } // end of six_to_All();
  /**
   * 3번에서 BroadCasting 할경우
   */
  public void thd_to_All() {
    // 왼쪽과 아래에 위치한 Computer로  패킷으로 전송
    thd_move2();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second_th(7);
    th = new Thread(this);
    th_type = 33;
    th.start();
    try {
      Thread.sleep(400);
    } catch(Exception ex) {}
    two_3();
    two_4();
  // 아래로 내려와 오른쪽에 위치한 Computer로 패킷으로 전송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thd_move2();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second_th(4);
    try {
      Thread.sleep(500);
    } catch(Exception ex) {}

    one_4();
  } // end of thd_to_All()
  /**
   * 7번에서 BroadCasting을 할경우
   */
  public void sev_to_All() {
    // 왼쪽과 아래에 위치한 Computer로  패킷으로 전송
    thd_move5();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second_th(7);
    th = new Thread(this);
    th_type = 36;
    th.start();
    try {
      Thread.sleep(400);
    } catch(Exception ex) {}
    two_3();
    two_4();
  // 아래로 내려와 오른쪽에 위치한 Computer로 패킷으로 전송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thd_move5();
    try {
      Thread.sleep(100);
    } catch(Exception ex) {}
    second_th(4);
    try {
      Thread.sleep(500);
    } catch(Exception ex) {}

    one_4();

  }
  /**
   * 4번에서 broadCasting 할때 기본 설정
   */
  public void two_1() { //
    fth_move2();
    second_th(6);
    time_move(43);
  }
  /**
   * 8번에서 broadCasting 할때는 위에 있는 two_1()의 메소드의 일부만 수정사용
   */
  public void two_other() {
    fth_move5();
    second_th(6);
    time_move(46);
  }
  /**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한 메소드
   * ↑
   * ←   // 이런식으로 움직임을 보여주는 메소드
   * ↓    // 아래에 있는 two_3(), two_4() 메소드도 같은 역할을 한다.
   */
  public void two_2() {
    try {
      Thread.sleep(400);
    } catch(Exception ex) {}
    second_th(7);
    th = new Thread(this);
    th_type = 36;
    th.start();
    time_move(33);
  }
  public void two_3() {
    try {
      Thread.sleep(400);
    } catch(Exception ex) {}
    second_th(8);
    th = new Thread(this);
    th_type = 26;
    th.start();
    time_move(23);
  }
  public void two_4() {
    try {
      Thread.sleep(400);
    } catch(Exception ex) {}
    th = new Thread(this);
    th_type = 16;
    th.start();
    time_move(13);
  }
  /**
   * 1번 시작 할때 첫번째 이동 메소드
   */
  public void one_1() { //
    one_move2();
    second_th(2);
    time_move(13);
  }
  /**
   * 1번 아래 있는 5번에서 시작할때 첫번째 이동 메소드
   */
  public void one_other() { //
    one_move5();
    second_th(2);
    time_move(16);
  }
  /**
   * 위에 있는 two_x메소드와 반대방향 → 이런식으로 패킷을 보내는 기능을 가진 메소드
   */
  public void one_2() {
    try {
      Thread.sleep(300);
    } catch(Exception ex) {}

    th = new Thread(this);
    th_type = 23;
    th.start();

    second_th(3);
    time_move(26);
  }
  /**
   * 위의 one_2()의 오른쪽으로 한블럭이동된 곳에서 시작한다.
   */
  public void one_3() {
    try {
      Thread.sleep(300);
    } catch(Exception ex) {}

    th = new Thread(this);
    th_type = 33;
    th.start();

    second_th(4);
    time_move(36);
  }
  /**
   * one_3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진행하는 패킷 이동 효과용 메소드
   *
   */
  public void one_4() {
    try {
      Thread.sleep(300);
    } catch(Exception ex) {}
    th = new Thread(this);
    th_type = 43;
    th.start();

    time_move(46);
  }

  /**
   * Second_th 메소드는 Second Thread를 이용하기 위한 메소드
   * @param i i번째 Thread를 시작하기 위해서 지정
   */
  private void second_th(int i) {
    Second se = new Second(i);
    se.start();
  }
  /**
   * 두번째 Thread로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해 만든 것으로
   * inner class로 구현하였다.
   */
  class Second extends Thread {
    int i;
    Second(int item) {
      i = item;
    }
    public void run() {
      try {
        Thread.sleep(25);
      } catch(Exception ex) {}
      if(i == 2) {         run_case2(); // 왼쪽에서 오른쪽 1번 메소드
      } else if(i == 3) {  run_case3(); //               2번 메소드
      } else if(i == 4) {  run_case4(); //               3번 메소드
      } else if(i == 6) {  run_case6(); // 오른쪽에서 왼쪽 1번 메소드
      } else if(i == 7) {  run_case7(); //               2번 메소드
      } else if(i == 8) {  run_case8(); //               3번 메소드
      }
    }
  }

  /**
   * TimerTack를 상속 받아온 inner class로...
   *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해서 Thread와 유사한 TimerTask를 이용하여 제작함
   *
   */
  class Timer extends TimerTask {
    int i = 1;
    Timer(int i) {
      this.i = i;
    }
    public void run() {
      try {
        Thread.sleep(25);
      } catch(Exception ex) {}
      if(i == 12) {        one_move2();
      } else if(i == 13) { one_move3();
      } else if(i == 15) { one_move5();
      } else if(i == 16) { one_move6();
      } else if(i == 22) { two_move2();
      } else if(i == 23) { two_move3();
      } else if(i == 25) { two_move5();
      } else if(i == 26) { two_move6();
      } else if(i == 32) { thd_move2();
      } else if(i == 33) { thd_move3();
      } else if(i == 35) { thd_move5();
      } else if(i == 36) { thd_move6();
      } else if(i == 42) { fth_move2();
      } else if(i == 43) { fth_move3();
      } else if(i == 45) { fth_move5();
      } else if(i == 46) { fth_move6();
      }
    }
  }
  /**
   * 위에 있는 Timer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한 메소드임
   * @param in in의 값의 timer를 실행할건지 결정하기 위해서
   */
  private void time_move(int in) {
    Timer ti = new Timer(in);
    ti.run();
  }

  public synchronized void run() {
    try { // 다른 스레드 또는 TimerTask랑 속도를 맞추기 위해 sleep을 건다.
      Thread.sleep(25);
    } catch(Exception ex) {}

    if(th_type == 9) {
      if(th_type == 1) {         run_case1();
      } else if(th_type == 2) {  run_case2();
      } else if(th_type == 3) {  run_case3();
      } else if(th_type == 4) {  run_case4();
      } else if(th_type == 5) {  run_case5();
      } else if(th_type == 6) {  run_case6();
      } else if(th_type == 7) {  run_case7();
      } else if(th_type == 8) {  run_case8();
      }
    } else if((th_type > 10) && (th_type < 20)) {
      if(th_type == 11) {        one_move1();
      } else if(th_type == 12) { one_move2();
      } else if(th_type == 13) { one_move3();
      } else if(th_type == 14) { one_move4();
      } else if(th_type == 15) { one_move5();
      } else if(th_type == 16) { one_move6();
      }
    } else if((th_type > 20) && (th_type < 30)) {
      if(th_type == 21) {        two_move1();
      } else if(th_type == 22) { two_move2();
      } else if(th_type == 23) { two_move3();
      } else if(th_type == 24) { two_move4();
      } else if(th_type == 25) { two_move5();
      } else if(th_type == 26) { two_move6();
      }
    } else if((th_type > 30) && (th_type < 40)) {
      if(th_type == 31) {        thd_move1();
      } else if(th_type == 32) { thd_move2();
      } else if(th_type == 33) { thd_move3();
      } else if(th_type == 34) { thd_move4();
      } else if(th_type == 35) { thd_move5();
      } else if(th_type == 36) { thd_move6();
      }
    } else if((th_type > 40) && (th_type < 50)) {
      if(th_type == 41) {        fth_move1();
      } else if(th_type == 42) { fth_move2();
      } else if(th_type == 43) { fth_move3();
      } else if(th_type == 44) { fth_move4();
      } else if(th_type == 45) { fth_move5();
      } else if(th_type == 46) { fth_move6();
      }
    }

  } // end of run();

  /**
   *  패킷 이동을 보여 주기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 부분 으로
   *  run_case'X'()메소드들은 부분별 효과를 담당하고 있다.('X'는 숫자)
   */

  /**
   * run_case1()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효과
   */
  private void run_case1() {
    run_case2();
    run_case3();
    run_case4();
  }
  private void run_case2() { move_Process(0,6,1,5);   }
  private void run_case3() { move_Process(5,12,1,5);  }
  private void run_case4() { move_Process(11,17,1,5); }

  /**
   * run_case5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효과
   */
  private void run_case5() {
    run_case6();
    run_case7();
    run_case8();
  }
  private void run_case6() { move_Process(16,11,2,5); }
  private void run_case7() { move_Process(11,5,2,5);  }
  private void run_case8() { move_Process(5,0,2,5);   }
  // one_moveX() 시리즈 메소드는 맨 왼쪽에 위치한 패킷 이동지역의 이동을 담당한다.
  private void one_move1() {
    one_move2();
    one_move3();
  }
  // one_move1,2,3 메소드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private void one_move2() { move_Process(0,3,1,1);   }
  private void one_move3() { move_Process(2,5,1,1);   }
  // one_move4,5,6 메소드는 아래에서 윗 방향으로 ...
  private void one_move4() {
    one_move5();
    one_move6();
  }
  private void one_move5() { move_Process(4,2,2,1);   }
  private void one_move6() { move_Process(2,0,2,1);   }

  // one_moveX()와 같다.. 왼쪽에서 2번째 위치한 패킷 움직임을 지정하기 위한 메소드
  private void two_move1() { // 위에서 아래로
    two_move2();
    two_move3();
  }
  private void two_move2() { move_Process(0,3,1,2);   }
  private void two_move3() { move_Process(2,5,1,2);   }
  // 아래에서 위로...
  private void two_move4() {
    two_move5();
    two_move6();
  }
  private void two_move5() { move_Process(4,2,2,2);   }
  private void two_move6() { move_Process(2,0,2,2);   }

  // thd_move1() 오른쪽에서 2번째 위치한 수직 패킷 이동 처리용 메소드
  private void thd_move1() { //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처리뿐이다.
    thd_move2();
    thd_move3();
  }
  private void thd_move2() { move_Process(0,3,1,3);   }
  private void thd_move3() { move_Process(2,5,1,3);   }
  //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처리만
  private void thd_move4() {
    thd_move5();
    thd_move6();
  }
  private void thd_move5() { move_Process(4,2,2,3);   }
  private void thd_move6() { move_Process(2,0,2,3);   }

  // 맨 오른쪽 수직 패킷 이동 처리를 위한 메소드
  // 1~3번까지는 위에서 아래로
  // 4~6번은 아래에서 위로 처리 한다.
  private void fth_move1() {
    fth_move2();
    fth_move3();
  }
  private void fth_move2() { move_Process(0,3,1,4);   }
  private void fth_move3() { move_Process(2,5,1,4);   }
  private void fth_move4() {
    fth_move5();
    fth_move6();
  }
  private void fth_move5() { move_Process(4,2,2,4);   }
  private void fth_move6() { move_Process(2,0,2,4);   }

  /**
   * move_Process()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핵심 부분으로 효과를 담당
   * 총 5개의 parameter가 있는데 array_num에 해당하는 array의 start 번지부터
   * stop 번지까지 type에 따라 효과를 보여준다.
   * @param start 배열의 시작 번지
   * @param stop 배열의 마지막 번지
   * @param type 효과의 진행 방향 1은 왼쪽->오른쪽, 2는 오른쪽->왼쪽
   * array 가 center를 제외한 나머지의 경우 1은 위->아래, 2는 아래->위 이다.
   * @param array_num 해당 배열
   */
  private void move_Process(int start, int stop, int type, int array_num) {
    int array[][] = null;
    switch(array_num) {
      case 1: { array = one_XY; } break;
      case 2: { array = two_XY; } break;
      case 3: { array = thd_XY; } break;
      case 4: { array = fth_XY; } break;
      case 5: { array = center_XY; } break;
    }
    if(type == 1) {
      for (int i = start; i < stop; i++) {
        g.setColor(Color.GRAY);
        g.fillRect(array[i][0], array[i][1], 19, 19);
        if (i > 0) {
          g.setColor(Color.WHITE);
          g.fillRect(array[i - 1][0], array[i - 1][1], 19, 19);
        }
        try {
          Thread.sleep(15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x) {}
      }
      g.setColor(Color.WHITE);
      g.fillRect(array[stop - 1][0], array[stop - 1][1], 19, 19);
    } else {
      for (int i = start; i > (stop-1); i--) {
        g.setColor(Color.GRAY);
        g.fillRect(array[i][0], array[i][1], 19, 19);
        if(array_num != 5) {
          if(i < 4) {
            g.setColor(Color.WHITE);
            g.fillRect(array[i + 1][0], array[i + 1][1], 19, 19);
          }
        } else {
          if(i < 16) {
            g.setColor(Color.WHITE);
            g.fillRect(array[i + 1][0], array[i + 1][1], 19, 19);
          }
        }
        try {
          Thread.sleep(15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x) {}
      }
      g.setColor(Color.WHITE);
      g.fillRect(array[stop][0], array[stop][1], 19, 19);
    }
  }

  /**
   * uniCasting() 기능은 process to process로 패킷이 이동하는걸 보여주기 위해
   * 경우의 수에 따른 이동경로를 지정해 준 메소드로
   * start와 stop process를 지정해 주면 해당 경우에 따라 패킷이 이동한다.
   * @param start 시작 process의 번호
   * @param stop 도착 지점의 process의 번호
   */
  public void uniCasting(int start, int stop) {
    if(start == 1) {
      one_move2();
      if (stop == 2 || stop == 6) {
        run_case2();
        if(stop == 2) two_move6();
        else two_move3();
      } else if(stop == 3 || stop == 7) {
        run_case2(); run_case3();
        if(stop == 3) thd_move6();
        else thd_move3();
      } else if(stop == 4 || stop == 8) {
        run_case1();
        if(stop == 4) fth_move6();
        else fth_move3();
      } else if(stop == 5) {
        one_move3();
      }
    } else if(start == 2) {
      two_move2();
      if (stop == 3 || stop == 7) {
        run_case3();
        if(stop == 3) thd_move6();
        else thd_move3();
      } else if(stop == 4 || stop == 8) {
        run_case3(); run_case4();
        if(stop == 4) fth_move6();
        else fth_move3();
      } else if(stop == 1 || stop == 5) {
        run_case8();
        if(stop == 1) one_move6();
        else one_move3();
      } else if(stop == 6) {
        two_move3();
      }
    } else if(start == 3) {
      thd_move2();
      if(stop == 1 || stop == 5) {
        run_case7(); run_case8();
        if(stop == 1) one_move6();
        else one_move3();
      } else if (stop == 2 || stop == 6) {
        run_case7();
        if(stop == 2) two_move6();
        else two_move3();
      } else if(stop == 4 || stop == 8) {
        run_case4();
        if(stop == 4) fth_move6();
        else fth_move3();
      } else if(stop == 7) {
        thd_move3();
      }
    } else if(start == 4) {
      fth_move2();
      if(stop == 8) {
        fth_move3();
      } else if(stop == 3 || stop == 7) {
        run_case6();
        if(stop == 3) thd_move6();
        else thd_move3();
      } else if(stop == 2 || stop == 6) {
        run_case6(); run_case7();
        if(stop == 2) two_move6();
        else two_move3();
      } else if(stop == 1 || stop == 5) {
        run_case5();
        if(stop == 1) one_move6();
        else one_move3();
      }
    } else if(start == 5) {
      one_move5();
      if(stop == 1) {
        one_move6();
      } else if(stop == 2 || stop == 6) {
        run_case2();
        if(stop == 2) two_move6();
        else two_move3();
      } else if(stop == 3 || stop == 7) {
        run_case2(); run_case3();
        if(stop == 3) thd_move6();
        else thd_move3();
      } else if(stop == 4 || stop == 8) {
        run_case1();
        if(stop == 4) fth_move6();
        else fth_move3();
      }
    } else if(start == 6) {
      two_move5();
      if (stop == 3 || stop == 7) {
        run_case3();
        if(stop == 3) thd_move6();
        else thd_move3();
      } else if(stop == 4 || stop == 8) {
        run_case3(); run_case4();
        if(stop == 4) fth_move6();
        else fth_move3();
      } else if(stop == 1 || stop == 5) {
        run_case8();
        if(stop == 1) one_move6();
        else one_move3();
      } else if(stop == 2) {
        two_move6();
      }
    } else if(start == 7) {
      thd_move5();
      if(stop == 1 || stop == 5) {
        run_case7(); run_case8();
        if(stop == 1) one_move6();
        else one_move3();
      } else if (stop == 2 || stop == 6) {
        run_case7();
        if(stop == 2) two_move6();
        else two_move3();
      } else if(stop == 4 || stop == 8) {
        run_case4();
        if(stop == 4) fth_move6();
        else fth_move3();
      } else if(stop == 3) {
        thd_move6();
      }
    } else if(start == 8) {
      fth_move5();
      if(stop == 4) {
        fth_move6();
      } else if(stop == 3 || stop == 7) {
        run_case6();
        if(stop == 3) thd_move6();
        else thd_move3();
      } else if(stop == 2 || stop == 6) {
        run_case6(); run_case7();
        if(stop == 2) two_move6();
        else two_move3();
      } else if(stop == 1 || stop == 5) {
        run_case5();
        if(stop == 1) one_move6();
        else one_move3();
      }
    }

  } // end of unicasting

  /**
   *  inner class 1, 직접 소켓으로 이동한다.
   */
   class Network2 implements Runnable {
    ServerSocket ss = null;
    Thread th = null;
    Vector globalvc = new Vector(); // Client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벡터 Object

    Network2() { //Network 클래스의 생성자
      try {
        ss = new ServerSocket(7728);
      } catch(Exception ex) {}
    }

    // 네트워크 서버 가동
    public void servStart() {
      th = new Thread(this);
      th.start();
      System.out.println("server Start");
    }

    public void run() {
      while(!th.isInterrupted()) {
        try {
          System.out.println("thread 가동중...");
          Socket s = ss.accept();
          System.out.println(s);
          Service sv = new Service(s);
          sv.start();
        } catch(IOException ex) {}
      }
    } // end of Run()

    /**
     * Network 에서 서버에세 메세지를 처리 하기 위한 서비스 클래스
     */
    class Service extends Thread {
      Socket s;
      String ip = "127.0.0.1";
      String mac = "abse2c2ro1ce";

      BufferedReader in;   // 값을 받아 오기 위해
      OutputStream out;   // 값을 보내 주기 위해

      Service(Socket s) {  // 생성자 생성
        try {
          System.out.println("Service 객체 생성");
          this.s = s;
          in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getInputStream()));
          out = s.getOutputStream();
        } catch(Exception ex) {}
      } // end of Service

      public void run() {
        while(true) {
          System.out.println("Service의 Thread 가동중...");
          try {
            String msg = in.readLine();
            if(msg == null) return;

            System.out.println("client : " + msg);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msg,"|");
            int pro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witch(prot) {
              case 100: { // 접속
                ip = st.nextToken();
                mac = st.nextToken();
                globalvc.addElement(this);
              }break;

              case 200: { // request
                String myMac = st.nextToken(); // 요청자의 mac주소
                String myIP = st.nextToken(); // 요청자의 ip주소
                String youMac = st.nextToken();
                String youIp = st.nextToken(); // mac을 원하는 ip주소

                for(int i=0;i<8;i++) {
                  if(myIP.equals(log_hard[i][0])) {
                    show_All(i+1);
                  }
                }
                try {
                  outMessageAll("200" + "|"  // 메세지 전달
                                + myMac + "|"
                                + myIP + "|"
                                + youMac + "|"
                                + youIp);
                } catch(Exception ex) {}
              } break;

              case 300: { // response
                String seMac = st.nextToken();
                String seIp = st.nextToken();
                String tarMac = st.nextToken();
                String tarIp = st.nextToken();

                for(int i=0;i                  Service sv = (Service)globalvc.elementAt(i);
                  if(sv.ip.equals(tarIp)) {
                    find_item(seIp,tarIp);
                    sv.outMessageTo("300|" +
                                    seMac + "|" +
                                    seIp + "|" +
                                    tarMac + "|" +
                                    tarIp);

                    //t//able_up(seIp,seMac,find_num(seIp));
                   break;
                  }
                }
              } break;

              case 400: {

              }break;
            }
          } catch(Exception ex) {
            break;
          }
        }

      } // end of run()
      public int find_num(String ip) {
        int tem = 0;
        for(int i=0;i<8;i++) {
          if(ip.equals(log_hard[i][0])) tem = i;
        }
        return tem;
      }
      private void find_item(String one, String two) {
        int on1 = 0, tw2 = 0;
        System.out.println("find_item");
        for(int i=0;i<8;i++) {
          if(one.equals(log_hard[i][0])) on1 = i+1;
          if(two.equals(log_hard[i][0])) tw2 = i+1;
        }
        if((on1 != tw2) && (on1 != 0) && (tw2 != 0))
          uniCasting(on1,tw2);
      }

      // 연결된 Client들에게 모두 메세지를 전송할때...
      protected synchronized void outMessageAll(String msg) {
        for(int i=0; i          Service sv = (Service)globalvc.elementAt(i);
          try {
            sv.outMessageTo(msg);
          } catch(Exception ex) {
            globalvc.removeElementAt(i--);
          }
        }
      } // end of putMessageAll

      // 연결된 Client중 특정 Client에만 메세지를 전송할때...
      protected synchronized void outMessageTo(String msg)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nServer Out(outMessageTo) : " + msg);
        try {
          out.write((msg + "\r\n").getBytes());
        } catch(Exception ex) {}
      } // end of putMessageTo
    }
  } // end of network2

//////////////////////////////////////////////////////////////////////////////////
  /** one_1 innerClass
   * One_1 innerClass 로 Runnable을 implements함
   * 여기서 하는일은 가상 c/s환경중 Client 환경을 제공함
   */
  class One_1  implements Runnable {
    Socket s = null; // C/S 통신용 소켓 선언
    BufferedReader in; // socket으로 입력을 받기위한 객체
    OutputStream out; // socket으로 출력하기 위한 객체
    String myIp = "245.123.123.123";
    String myMac = "ad42cb21ff1e";
    int myNum = 0; // 내 번호
    public One_1() { }
    /**
     * 자기 자신의 Num이 몇번인지 설정하기 위한 메소드
     * @param my num값을 받아온다.
     */
    public void set_Num(int my) {
      myNum = my;
    }
    /**
     * 새로 protocol Address를 추가할때 쓰이는 메소드
     * @param pt pt is Protocol Address
     */
    public void add_item(String pt) {
      System.out.println("call add_item");
      add_item("P",0, 0, 0, pt, "");
    }
    /**
     * add_item의 오버로딩된 메소드로 총 6개의 값을 받아와 Table에 새로 추가한다.
     * @param st state 정보값
     * @param que queue의 값
     * @param atem attemp의 값
     * @param ti time-out의 값
     * @param pt protocol address의 값
     * @param hd hardware address의 값
     */
    public void add_item(String st, int que, int atem, int ti, String pt, String hd) {
      System.out.println("call add_item2");
      ta[myNum].addRow(st,String.valueOf(que),String.valueOf(atem),String.valueOf(ti),pt,hd);
    }
    /**
     *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메소드
     * @param ip Protocol Address
     * @param mac Physical Address
     */
    public void connProcess(String ip, String mac) {
      try {
        s = new Socket("localhost", 7728);
        in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getInputStream()));
        out = s.getOutputStream();
        myIp = ip;
        myMac = mac;
        out.write( ("100" + "|" + myIp + "|" + myMac + "\n").getBytes());
        new Thread(this).start();
      } catch (Exception ex) {}
    }

    /**
     * 내가 다른 터미널에 mac을 요청할경우
     * @param endIP Target IP
     */
    public void sendProcess(String endIP) {
      if(myIp.equals(endIP)) {

      } else {
        System.out.println("다른 터미널에게 mac addr. 요청...");
        try {
          out.write( ("200|" + myMac + "|" + myIp + "|not|" + endIP + "\n").
                     getBytes());
        }
        catch (IOException ex) {}

        add_item(endIP);
        System.out.println("mynum is : " + myNum);

      }
    }
    /**
     * run() One_1 class의 Thread 처리 메소드
     * ARP를 요청 할경우 상대방에게 내 MAC 정보를 넘겨 준다.
     * 내가 ARP를 요청 했을때 반환되서 돌아오는 MAC정보를 받아 Table을 update를 시킨다.
     */
    public void run() {
      while(true) {
        try {
          String msg = in.readLine();
          if(msg == null) return;
          System.out.println("client : " + msg);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msg,"|");
          int pro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witch(prot) {
            case 200 : {
              String one_mac = st.nextToken(); // 요청한 유저의 mac
              String one_ip = st.nextToken(); // 요청한 유저의 주소
              String two_mac = st.nextToken(); // 메세지 보낸 위치 물리적 주소
              String two_ip = st.nextToken(); // 메세지 보낸 위치 주소
              if(two_ip.equals(myIp)) {
                try {
                  out.write(("300|" + myMac + "|" + myIp + "|" + one_mac
                             + "|" + one_ip + "\n").getBytes());
                } catch(IOException ex) {}
              }
            }break;
            case 300 : {
              String one_mac = st.nextToken(); // 요청한 유저의 mac
              String one_ip = st.nextToken(); // 요청한 유저의 주소
              String two_mac = st.nextToken(); // 메세지 보낸 위치 물리적 주소
              String two_ip = st.nextToken(); // 메세지 보낸 위치 주소
              ta[myNum].updateRow("R","1",one_ip,one_mac);
              System.out.println("this num is : " + myNum);
            } break;
          }

        } catch(Exception ex) {
          break;
        }
      }
    }

  } // end of Client 클래스


} // end of main class



반응형
Posted by onlyTheOne
,
반응형

제가 써가는 네트워크 이야기..가  벌써 6번째 이네요..

오늘은... 몇일전 오랜만에 뵌 지인 분의 조언을 받아......

진행 방향을 조금 바꿔 볼까 합니다...

우선...... 여기서 적는 네트워크에 대한 소견은....

저의 사견이며....... 절대적 원론적이지 않으며 시시때때 바뀔수 있다는 점 입니다.

지인 분이 저에게 이렇게 질문 하시더군요..

CCNA를 가지고 있는 신입사원에게 네트워크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판단되여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업무를 맞기면서

CSU 와 라우터를 연결해 보라고 하면 답이 어떻게 나올까요?

대 부분의 분들은 " No! " 라고 외치실 겁니다.

네 바로 그겁니다.

제가 아는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은 빙산의 일각이며 여러분이 알고 있는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도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니 자기의 지식에 대해 너무 자랑스럽게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CCNA가 네트워크 세계에 통용되는 자격증의 한 부분일뿐이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장비를 다 내 맘대로 할수 있어 라는

뜻이 아니라는 겁니다.

그냥 쬐금 알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그럼.... 계속 진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제가 운영한 망에서의 trouble shooting 경험에 대해 관련해 적어 볼려고 합니다.

엇나갈수도 있다는거 잊지 마시구요 ^^:

트러블 슈팅.... 우리말로 하자면 문제 해결 이라고 볼수 있는데요 망을 운영 관리 하다보면...

전혀 엉뚱 한곳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네트워크의 장애를 초래 하거나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를 Down 시키는 등

많은 문제를 이야기 시킵니다...

우선 기본 적인 네트워크 장비 들 부터 볼까요?

대다수의 분들이 이렇게 말씀하시겠죠... "라우터요~~~"

음 맞긴 맞는데 극히 일부분 입니다. 그럼 저는 이렇게 질문 하고 싶습니다.

"그럼 라우터는 무슨 역할을 하나요?"

생각할 시간을 드리겠습니다.

답은? 맞추시는분들도 있고 대답 못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Router... Route란... 네이버 사전을 찾아 보면

route
1a 길(road), 노정;루트;항로(航路)
2 《미》 (우유·신문 등의) 배달 구역
3 《고어》 【군사】 행군 명령
1 <…의> 루트를 정하다

이렇게 나옵니다.

즉 루트를 정하다...... 즉 DATA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잡아주는 장비가 바로 Router 인 겁니다...

이렇게 말씀 드리면 이해 되시죠?

이해 되셨을거라 믿고...

그럼 왜 라우터가 필요할까요???

왜 경로설정이 필요 할까요??

먼저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에 대해 알아 보고 넘어 가겠습니다.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은...

Unicast, BroadCast, MultiCast 기본적으로 이 3개 방식이 있습니다.

3개 방식의 각각 특징을 적으며

UniCast -> 1:1 전송 입니다. 즉 다이렉트 케이블을 이용한 PC대 PC 연결이라고 생각하시
              면 빠릅니다. 아님 전화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즉 송수신자가 DATA를 오직 송,수신자로 부터 송,수신하여 Communication
              하는 방식 입니다.

BroadCast -> 1:다수 전송 입니다. 이건... 말그대로 방송과 같습니다. 송신자는 1명이며
              송신시에 전 네트워크에 DATA를 전송해 주는 전송 입니다. 수신자가 수신을
              하던 안하던 상관 안하고 보내는 겁니다.

MultiCast -> 1:N 전송입니다. 여기서 N이란... 특정 유저의 DATA를 N이라는 그룹에 속해
              있는 유저들만 DATA를 수신 받겠다는 뜻입니다. 즉 송신하는 컴퓨터에서 DATA는
              수신하겠다는 OK싸인이 떨어진 컴퓨터로만 DATA를 전송 하는 겁니다.

이제 위의 전송 방식에서 나타날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이야기 해 보고자 합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쓰는 이더넷 방식이란 CSMA/CD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CSMA/CD란... (네이버 사전 참조)
더넷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의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을 사용한다. 데이터를 보내려는 컴퓨터가 먼저 통신망이 사용 중인지 아닌지 검사한 후에 비어 있을 때 데이터를 보낸다. 통신망이 사용 중이면 일정시간을 기다린 후 다시 검사한다. 통신망이 사용 중인지는 전기적인 신호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두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검사하여 통신망이 사용 중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고 동시에 전송하게 되면 충돌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 대비해서 데이터를 전송한 컴퓨터는 자신의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여 손상이 있으면 다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두 컴퓨터의 재전송이 동일한 시간 후에 일어나면 다시 충돌이 발생하므로 재전송 시간은 일정한 방법에 의해 변경된다.

이기때문에... BroadCast 방식의 전송은 네트워크 전체에 악영향을 초래 할수 있는 겁니다.

다시 원래 대로 돌아가......... CSU와 라우터 연결할줄 아시는분???????

없으시죠? 왠 만한 분들은 책만 봐서는 모를 겁니다.

직접 안해본 이상....

회선 구성은  기본적으로  Router - CSU - 전송장비(회선 서비스제공업체) - CSU - Router 이렇게 이루어 집니다.

머 요즘은 광을 쓰는 시대라 ~~~

오늘은 여기까지 적도록 하겠습니다.

더 나가단 스파게티성 강의가 더 꼬일거 같아서요 ^^:~

저도 정리좀 하고 써야 해서~~ 이해 부탁드립니다.

그럼 다음 이시간에 ...

반응형
Posted by onlyTheOne
,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방문자가 급 폭주 할때가 많이 있네요...

글도 몇개 없는데...

요즘 블로그 관리자는...

학업에 정진 중입니다.

학과 과목중에 텀프로젝트로 나오는 과목이 많아.

그것들을 다 준비하느라 정신 없네요..

인공지능에서 정보보호까지..

에휴 ㅠ.ㅠ

힘드네요..

그럼!~~

곧 이것저것 올리겠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onlyTheOne
,
반응형
스택 큐 짬뽕 플그램
스택 에 오버플로우 발생시 큐에 스택 내용저장하는 프로그램

소스
----------------------------------------------------------------------------------
#include <stdio.h>
#include <conio.h>

int stack[10];
int top;
int queue[10];
int front, rear;

void init_stack();
void push(int vall);
void pop();
void print_stack();
void init_queue();
int get();
int put(int put_num);
void print_queue();
void send_queue();

// 스택
void init_stack() {
  top = -1;
}

void push(int vall) {
  if(top >= 9) {
    printf("\n 스택이 찼습니다. 큐로 바꾸어 저장하겠습니다.\n");
    send_queue();
  } else {
    stack[++top] = vall;
    printf("스택에 저장한 숫자 : %d\n", vall);
  }
}

void pop() {
  if(top < 0) {
    printf(" 스택비움\n");
  } else {
    --top;
  }
}

void print_stack() {
  int i;
  printf(" 스택 top -------------------- buttom\n");

  for(i = top; i>=0;i--) {
    printf("%d ", stack[i]);
  }
  printf("\n");
}

void send_queue() {
  // 스택에서 뽑아서 큐에 저장

  int i;
  printf("스택 Data -> 큐 로 이동\n");
  for(i=top;i>=0;i--) {
    int flag = put(stack[i]);
    if(flag == 0) break;
  }
  printf("스택 Data 큐에 저장완료\n");
}

// 큐
void init_queue() {
  front = rear = 0;
}

int get() {
  int get_num;
  if(front > 9) {
    printf("언더플로우 발생\n");
    get_num = -1;
  } else {
    get_num = queue[front++];
  }
  return get_num;
}

int put(int put_num) {
  int flag = 1;

  if(rear > 9) {
    printf("오버플로우발생\n");
    flag = 0;
  } else {
    queue[rear++] = put_num;
  }
  return flag;
}

void print_queue() {
  int i;
  printf("큐 first ----------- last \n");
  for(i = front; i < rear; i++) {
    printf("%d ", queue[i]);
  }
  putch('\n');
}

void main() {

  int select_num;
  int push_num;
  int exit_flag = 0;

  printf("스택과 큐를 통합한 프로그램\n");

  init_stack(); // 스택초기화
  init_queue(); // 큐초기화
  while(1) {
    printf(" 1) push 2)pop 3)stack data print 4)stack&queue data print 5)Quit! \n");
    printf("숫자를 선택해 주세요 : " );
    scanf("%d",&select_num);

    if(select_num > 4) break;
    else {
      switch(select_num) {
        case 1 :
          printf("푸쉬 숫자를 입력해주세요 => ");
          scanf("%d", &push_num);
          push(push_num);
          printf("푸쉬 실행\n");
        break;
        case 2:
          pop();
          printf("팝 실행\n");
        break;
        case 3:
          print_stack();
        break;
        case 4:
          print_stack();
          print_queue();
        break;
      }
    }
  }
  printf("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n");
  getch();
}
반응형
Posted by onlyTheOne
,
반응형

네트워크 이야기 그 다섯번째.. 입니다...

이번에는 ATM 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1. ATM이란...
  -> ATM은... 역시 약자 입니다. 무슨 단어의 약자 이냐면...
      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줄임말입니다.
     
     우리말로 하자면... 비동기 전송 방식입니다. 왜 비동기 전송이냐... 음 글쎄요 ㅋㅋ
     ATM cell을 이용해서 DATA를 전송하기 때매 그랬나 봅니다. 그럼 반대는 STM이겠죠?   
     ^^:~~
     전송을 하기 위해선 VPI와 VCI를 지정하여 전송을 합니다.

2. ATM cell은?
   -> ATM 에서 전송방식은 52bytes 사이즈로 이루어진 ATM Cell이 기본 입니다.
       이 cell은... 5바이트의 헤더와 48바이트의 payload. 일종의 DATA 저장 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ATM은 어떠한 데이터가 들어 오든 ATM Cell에 집어 넣어
       전송합니다.

3. 왜 ATM이냐...
   -> ATM은 여러 DATA들을 수용할수 있습니다. 하다 못해 전화 회선도 수용가능해서..
       ATM이라는 단일 장비를 통해서 단일 통신 프로토콜로 여러 데이터를 혼합 하여
       한방에 전송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시작한 걸 겁니다.... 물론 ATM이..
     
       좋은 아이디어 였습니다.... 하지만... 비싼 장비 가격으로 인해 그리고 이더넷의
      등장으로 차츰 사용 %가 감소하여서 지금은 거의 안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에
      안쓰는 건 아닙니다. K모 사에서도 아직도 이 ATM장비를 이용한 ATM망이 존재 합니다.

       A~B지점을 연결하는 전용회선으로 쓰기에는 저렴하게 제공되기 때문이죠..
      그리고 기존 장비를 걷어 내기도 머하니깐요..

4. ATM장비는..
  -> ATM 장비는 음.... 저는 이렇게 배웠습니다. ATM 교환기라 불리우는 장비가 있습니다.
      광역망을 지원하기 위해 ATM 백본 교환기와 구내망 지원을 위한 ATM 접속 교환기가
      있습니다. 먼저 ATM 접속 교환기가 나오고 그리고 백본 교환기가 나왔습니다.
       백본은 말 그대로 중추 신경계라는 뜻이구요 접속은... 중추 신경계에 들어서기전 한번
      모이는 것을 뜻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타사 블로그 그림그리기 툴 이용) 붉은계열
      장비가 백본 교환기 푸른계열 장비가 접속교환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사용중인 장비들은 알모사의 제품들이 남아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장비
      구성은... 머... 라우터와 같다고 보시면 빠릅니다.

      껍데기 + DATA 처리 카드 + 회선 연결 카드 -> 교환기... 이렇죠...

      백본교환기에서 제공되는 속도는 T1~155Mb까지 커버 됩니다. 물론 실장량은 최대
      622MB까지 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실장량이라 함은 제가 쓰는 말이구요...
      장비에서 지원되는 회선 속도의 합... 즉 622이 최고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맞는지 틀린지는 ^^:~~(야매 강좌~~ ㅋㅋ) 여기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UTP, 동축,
      광케이블이 있겠습니다. 광~~은  컨넥터 type이... SC 타입인가 그럴겁니다..
       접속교환기는 광케이블이 빠집니다. 그리고 구형이라 처리용량도 많이 느리구요....
       거의 RJ-45 커넥터나 BNC, 하나 더 있는데 케이블을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 장비는... ATM 컨트롤 서버입니다. 즉... NMS라는 개념과 함께 세팅을
      실시간으로 하기 위해 있는 장비 입니다. 일반 서버 보다는 그냥 워크스테이션급
      컴퓨터에서 돌리며 장비상태 들을 확인하고 장비 세팅같은걸 할 수 있습니다.
      ATM은 정말~~ 절레절레... 구형 장비라 반응속도도 조금 느립니다. ㅋㅋ
 
     음 더 적을려고 했는데 졸려서 더 이상 못 적겠네요~~~
     조만간 Six 번째 시간에 적어야 겠네요~~

다음 시간에는 중간 정리 한번 하도록 하겠습니다.

야매 강좌를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Posted by onlyTheOne
,
반응형
자바라는 이야기....

제가 자바라는 언어를 처음 접하며.. 지금까지..

프로그래밍을 해보며... 느껴왔던걸 적어 나가려 합니다...

자바 하면 떠 오르는건.....

일단 커피를 즐겨 마시는 분들은...

커피의 한종류로 알고계시고....

두번째는..... 자바 아이콘..... (아래 참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JDK 설치 폴더 demo 실행프로그램 이미지 중 하나)



세번째는...... 자바 하면..... 자바스크립트가 생각 나실겁니다...

미리 밝혀 두지만...

자바와 자바 스크립트는 전혀 다른 부분입니다...

자바 스크립트가 자바 언어의 문법을 일부 쓰긴 하지만....

다르다는거........

일단 자바라는 언어의 최고의 장점은..

Write once, Run anywhere!

앞뒤가 바뀔때도 ㅋㅋ

한번 만들면 어디에서나 실행이 된다는거....

이걸 자바의 가장 좋은점이죠... 하지만 우리는... 한가지 모르고 넘어가서..

결국 두 번 일하게 되는 경우를 전 요즘 알게 되었답니다...

무엇이 문제인가?

자바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경우는 윈도우에서 할때도 있고... 맥에서 할때도..
유닉스, 리눅스에서 할때도 있습니다...

바로 이게 문제 입니다.!!!! 윈도우에서 AWT나 Swing을 이용하여 제작한 프로그램이..

맥에서나 유닉스에서 제대로 실행될까요???  실행시켜 보신분!!??

제가 말하는 답은.. 아니오 입니다... 제가 본 바로는 제대로 안됩니다...

그 이유는.... 바로 각 OS 별.... Character Encoding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케릭터 어쩌구??가 머가 문제 인데요?? 라고 말하면...

일단...

대부분의 자바 공부하시는 분들이 많이 쓰는 study 환경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대부분

Operating System은 MicroSoft사의 Windows XP(home, Professional)에

개발키트 : JDK 1.5(1.6버전),       통합개발환경 IDE는 eclipse를 쓰실겁니다...

아래는 윈도우에 설치된 이클립스 화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명 : 우리가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시 보여지는 화면입니다., eclipse내 component의 위치는 사용자 마다 다를수도 있습니다. 보여지는 소스 코드는 자바 NIO관련 서적의 예제입니다. 제가 요즘 새로 산책을 공부하고 있거든요...)

자 이제 eclipse의 encoding의 설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File 메뉴에..
Propertice 메뉴 아이템을 클릭하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와 같은 옵션창이 나올겁니다... 이미지를 보시면 Text file encoding이라고 해서..
아래 보시면... Default 어쩌구 해서 MS949로 설정되어 있을겁니다. 만약 저파일을...
리눅스에서 수정할려고 띄우면 어떨까요???

to be continue...
반응형
Posted by onlyTheOne
,
반응형
안녕하세요 필자가 실전에서 우러 나온 네트워크에 대한 이야기

4번째 에 들어 섰습니다.

지난 강좌들에서는 네트워크란 부터~~ 광케이블 까지....

이야기 했구요... 오늘도 계속 진행해 볼까합니다.

오늘은 회선 전송 속도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bps 란...
  -> bps는 회선에서의 Data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입니다. bit per second 즉...
      1초당 몇 비트를 전송할수 있느냐에 대한 단위 입니다.

2. bps 앞에 붙는 단위들....
  -> bps앞에 보면 K, B, G 이렇게 나가는데 이건 Kilo, Mega, Giga(10의 3승, 6승, 9승)
      입니다.      

      Giga 위로는 peta가있구요... 아 한가지더 알려드리면 10의 -승들도 있습니다.
      표로 정리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표 위의 분류는 제 임의로 작성하였으니 테클은 사양합니다.)


명칭

단위

명칭

단위

Kilo

10의 3승

milli

10의 -3승

Mega

10의 6승

micro

10의 -6승

Giga 

10의 9승

nano

10의 -9승

Tera

10의 12승

pico

10의 -12승

 

 

femto

10의 -15승

 

 

atto

10의 -18승


 

3. Tx 시리즈와 Ex시리즈...
  -> Tx 속도는 북미에서 제정한 속도 명칭입니다. T1, T3 를 지칭하는 계열 입니다.
      Ex 속도는 유럽에서 제정한 속도 명칭입니다. E1, E3 를 지칭하는 계열 입니다.
      이렇게 나뉘는건 기본적으로 전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T1과 E1은 T1은 한 회선으로
      전화로 동시 통화 가능한게 24개 채널입니다. 즉 24개 회선을 지원하는 회선 속도 이며,
      E1은 32채널 입니다.  그리고 T1은 1.544Mbps 이고... E1은 2.048Mbps 입니다....
      기본적으로 전화 1회선에서 제공하는 Data 전송속도는 64Kbps이며 모뎀의 56Kbps는
      전화선에 부담을 주지 않고 안정적인 data전송을 위해 쓰입니다. 64Kbps나오는게
      있긴 있었습니다. ISDN이라 불리우는 서비스 였죠...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망했다는거....
     
       회선 속도가 T1인 경우에는 인터넷은 가능한 정도 지만 동영상을 볼 수준은 조금
      힘듭니다. 하지만 아직도 T1, E1회선 쓰는 분들이 많다는거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동영상을 보기에 충분한게 T3급 입니다... 전송속도는 45Mbps로써... T1급
      회선이 29개 모인 겁니다. 실제 속도는 44.땡땡땡으로 나갑니다. ^^:~ E3는 E1의 16배
      인 약 34Mbps 입니다. 둘다 실제 아직 많이 쓰이고 입니다. 음 전화선으로 많이 쓰인다고
      보면 되죠... 전화선을 T3급으로 끌어다 놓은 건물이 있으면... 약 690여개 전화기를 놓아
      둘수 있는 겁니다. 꽤 많죠~~

4. 100Mbps란.....
  -> 이것에 대해서 설명하기전...  100Mbps... 요즘 많이 나오는 이야기 이죠....
     100Mbps가 얼마냐 빠르냐...
전송속도에서 보면 100Mbps는 빠른축에 끼지도 못합니다.
      이보다 더 상위 속도가 많이 있지요... 왜 100Mbps가 대두 되냐하면 가정에서 쓰이는
     랜선에서 지원해주는 속도 그리고 PC에 내장된 랜카드의 최고속도가 100Mbps이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기가비트가 나와서... 점차 바뀌게 될듯 싶습니다.

5. 회선 대역폭....
  -> 가끔 왜 우리집은 최대 10Mbps 선 깔렸는데 왜 7Mbps밖에 안나오느냐... 따지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10Mbps란 회선에서 제공하는 이론상 최대 속도 이고.... 이것저것 간섭 등으로 인해
      회선에서 제공되는 속도의 85% 이상 나오면
       정상 회선으로 봅니다. 물론 75%도 인정하는 곳도 있기도 하구요 그래서 요즘 인터넷
      서비스 회선 제공 업체들과 고객과 싸우는게 이것 때문입니다. 물론 케이블이 광케이
      블이면 거의 지원해 준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이구요....

다음은 제가 가지고 놀았던 ATM 장비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onlyTheOne
,
반응형

지난번 두 번째가 부족한거 같지만...

이글을 세번째  이야기로 하려 합니다....

1. 동축 케이블
  -> 동축은 아래 그림을 일단 참고 하세요..
      (집에 보면 TV에 연결된 안테나 선이 동축이라 보면 되겠다.. 구조는 아래 이미지를 ..)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광케이블
  -> 광... 여기서 광이란 빛 광 즉.... 빛으로 전송하는 걸로 알고 있다.. 어떻게 빛으로 보낸..
    지는 잘 모른다.. 빛을 쏘아서 보낸다고 하는데 ..~~ 암튼 자알 보낸다...
    이 광케이블의 등장으로 초고속 인터넷이 가능해졌다고 볼수 있겠다...
    광케이블은 동축과 비슷하나 내부가 구리선이 아니라 빛이 전반사가 가능한 유리섬유이다.
    (잠깐... 전반사란.. 검색해 보시길.. ^^:) 음... 광케이블은 크게 구내용과 옥외용이 있다...
    옥외용이란... 지하에 매설되어 있거나... 요즘 K사에서 CF에 나오는 내집까지 광케이블..
    FHHT인가 먼가해서 전신주에 보면 매달려 있는게 있다.. 동축하고 비슷하게 생긴 이..
    케이블이 옥외용 광케이블이다... 즉.. 외부의 간섭을 안받기 위해 보호막이 잘 씌워 져 ..
    있다고 보면 될것이다.... 그리고 구내용... 구내용은 크게 멀티형과 싱글형이 있는데..
    (솔직히 정확히 조사 안해서 맞는것인지는 모른다.. 오로지 내가 알게된 것만
    적어두는것이기 때문에 100% 이거다 라고 말하지 않는다...나의 경험담을 적은거니..
    이해 바란다..) 싱글형이란.. 즉 하나의 빛만... 멀티형이란.. 여러 빛을... 한 선에...
    여러 신호를 보내고 못보내고 차이로 알고 있다... 싱글형은... 멀티형에 비해 장거리가..
    가능하나... 그만큼... 뒤따르는게... (안말해도 아시겠죠)~~ 이 구내 광케이블을..
    포설 한다고 한다... 암튼 선을 깔때... 그냥 바닥에 깔면... 광케이블이 손상을 입을 수 있기
    에... 레일이나 지정된 배선관을 통해 한다.. 이런게 없을경우에는 케이블를 감싸기 위해
    여러 종류의 주름관에 넣어서... 케이블을 설치한다...
    (주인장은 주름관에 집어 넣는작업을 해 보았다... 장난아니다....)

* 잠깐 구내용 광케이블 포설에 대해서...
   -> 구내용 광케이블 포설은 광케이블이 지나갈 길이 만큼의 광케이블을 준비하고
       그리고 그 길이 만큼의 주름관과 리드선이 필요로 한다.
        포설방식은 주름관에 광케이블을 집어넣고 포설하는게 있고 주름관에 리드선만 넣고
       주름관을 먼저 포설 그리고 주름관에 광케이블을 집어 넣는다... (난 이렇게 포설했다..)

        리드선이 왜 있냐?~~ 주름관 즉... 배가 갈라지지 않는 통 일명 호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곳에 광케이블을 집어 넣긴 위해서는 광케이블을 밀어 넣어서는 때려죽어도
       안들어간다. 그래서 리드선을 미리 집어 넣고...
       (리드선 넣는것도 빡세다... 하지만.. 광케이블 밀어 넣는 것 보다는 쉽다.)

        그리고 미리 넣어둔 리드선 한쪽 끝에 광케이블을 붙여서 반대편에서 리드선을 땡기면
       광케이블이 따라 들어간다. 그렇게 해서 리드선을 반대편까지 땡기면 광케이블이 주름관
       안에 들어가게 된다..(하나의 쉴드가 또 감싸지게됨..)
         아 이때 쓰는 주름관은 여러가지가 있다.. 기본적으로 안이 철로된 주름관이있다..
       음 주방에 보면 코브라라는 싱크대에 설치된 호스 같은게 있고 밖에 고무로 감싸진 관...
       다른 하나는 순 플라스틱 + 고무, 꺾이는 PVC관... 이런걸 쓴다..
 
       광케이블 한 줄 포설할때는 좀 편하다 하지만 2줄 이상이면... 센스가 필요하다....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 광케이블의 장점은 다 알다 싶이... 좋은점이 다 장점이다...
      (참 성의 없는 설명...)
        하지만 광케이블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비용과 관리 이다... 광케이블은 A지점
       부터 B지점까지 하나의 선으로 되어 있어야지만 최고의 효과를 나타낸다. 중간에 끈어
       질 경우 이어 붙이게 된다.. 이럴경우 전송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광케이블은 한번만
       끈어지게 되면 그 구간을 통째로 교체하는게 좋다고 한다. 이어 붙이는건 임시 방편
       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든다.

 이상 케이블의 설명을 마친다... 오늘은........... 여기까지 적겠습니다...다음 이야기를..

반응형
Posted by onlyTheOne
,
반응형
오늘은 아침 부터...

두둥.... 벼락소리가...... 나를 깨웠다...

요즘 나......

한마디로 놀고 있다.....

이것저것..... 그냥..... 빈둥빈둥.....

영어공부도 해야 하는데 안하고 있다....

으이구~ ㅋㅋㅋ 오늘부터 시작했다...

영어공부... 프로그래밍.....

요거 두개만 일단 해 보자..

스트레스는..... 일렉과 함께...
반응형
Posted by onlyTheOne
,